우리나라에서도 뼈속까지 개발자가 떼 돈을 버는 아름다운 사례가 많이 나와야 한다. (떼 돈이라고 했다. 그저 몇 달에서 1년 남짓 살아갈 돈 투자 받은거 말고). 그리고 그것이 오픈소스면 더 좋겠다.

그러러면 전제가 있는데, 개발자가

1. 고객을 이해해야 한다. 이건 만나서 배워야 한다. 고객도 중요하지만 고객의 고객이 더 중요하다. 고객은 위대하고, 고객의 고객은 단순, 무식하다.

2. 지금은 (기술적으로, 기능적으로) 더 좋은 물건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수준의 물건을 잘 만들어야 할 때다. 새롭고 멋진 feature list 말고, 고객인 원하는 수준에 해당하는 버전으로 freeze하고 그 버전이 가진 issue에 집중해야 한다.

3. 돈 이야기를 하는데 shy 하지 말아야 한다. 고객이 왜 이 물건에 돈을 내야하는지, 그런 고객을 가진 내게 투자를 해서, 너님 투자자가 어떻게 떼 돈의 일부를 가질 수 있는지, 나를 만난 것이 얼마나 행운인지 드라이하게 이야기해야 한다.

4. 결론적으로.. 사장을 해야한다. CTO 뭐 그런게 아니라.

5. 자신이 없나? 그렇다면 나보다 위 일들을 잘 할 수 있는 사람을 빨리 찾아서 내 편을 만들고 그 사람에게 맡겨야 한다. 내가 그 잘 할 수 있는 사람을 찾아 설득할 수 없다면 '위대한 고객' 찾을 수도 설득할 수도 없을 가능성이 높다.

- 내가 돈 잘 못버는 그래서 망한 회사에서 많이 있어보고 일해 봤다. 어쩌면 직원 각자는 자기가 열심히 하지 못해서, 능력이 좀 부족해서 회사가 돈을 잘 못벌고 있다는 '착한' 생각을 할 수도 있는데, 그 상태가 된다는 것은 당신이 범죄자 근처의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원들은 자신의 일이 돈버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생각에 행복해야 한다.

- 당신의 직원들은 지금 당신이 돈 잘 버는 사장이기를 '우주의 기를 모아 간절히' 원한다.

- 보셨는지 모르지만. "돈 적게 들이면서 직원에게 보상하는 25 방법" 이런 것도 있다. <-- LINK 

BUT, 그러나, Never, 돈 못 벌면 그런 보상이 통하지 않는다. 정말이다.

*

반응형

'회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관점에서 플랫폼의 이해  (8) 2019.06.11
창업을 하려면 최소한...  (0) 2019.05.30
매니져와 리더  (0) 2013.01.09
크리티컬 매스 (Critical Mass)  (0) 2011.10.11
LG 전자의 고객서비스 개선  (0) 2011.07.15
Posted by hl1itj

댓글을 달아 주세요